머.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이야기. 그래도 닭큐보다 조금 늦게 시작하시는 분들에게는 조금은 귀가 솔깃한 이야기.
바로 블로그 검색엔진최적화(SEO)인데요.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다음이나 네이버 등의 검색엔진 알고리즘에 맞게 블로그의 포스트나 개별사이트의 내용을 꾸미고, 다듬어서 키워드에 대한 블로그나 개별사이트의 랭킹을 상위로 끌어 올려 키워드 검색결과에서 자신의 블로그 등에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즉, 포털 검색 시 검색결과에서 상위노출 포스트를 작성하는 기본적인 방법이죠.
블로그 상위노출 위한 몇 가지 방법과 함께 블로그 포스팅에 관한 짜잘한 팁을 전합니다. ㅋ
1. 적절한 키워드를 반복해서 사용합니다.
포스트의 제목을 쓸 때 그 포스트가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에 관한 키워드를 한 번 또는 두 번정도 넣어줘야 합니다. 또한 글의 내용에도 동일한 키워드를 반복해서 사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많은 포털에서 이 검색엔진최적화에 대해서는 매우 비밀스럽게 다루고 있기에 정확한 숫자가 알려진 바는 없지만, 하나하나 클릭 노가다로 분석하며 이를 분석한 파워블로거들은 보통 3번에서 10번 이상의 키워드 삽입을 권유하고 있습니다.
다만, 키워드를 몇 번이고 반복하고, 글자색을 흰색으로 바꾸는 등으로 무리하게 키워드를 반복(일명 유령키워드)하는 경우, 오히려 검색엔진에서 블랙리스트에 올려, 검색 시 상위노출은 커녕, 아예 노출에서 제외한고 있다는 소식도 있으니, 이 부분은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검색엔진에 맞는 키워드를 삽입한다고, 스토리에 상관없이 키워드를 불쑥불쑥 끼워두는 행위도 블로그 방문객의꾸준한 유입을 방해한다고 하니, 참고하시구요.
2. 검색엔진은 사진을 좋아합니다.
텍스트 위주의 포스트는 쓰는 사람도 힘들지만, 보는 사람도 힘들게 만듭니다. 사진을 넣는 것은 상위노출을 위한 전략이기 이전에 유입자들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는 요소가 되기하므로 방문자의 꾸준한 유입을 원하신다면 반드시 사진은 필수라 생각됩니다.
치킨집이나 피자집 등 경쟁이 치열한 업체들의 블로그인 경우, 최소 10개 이상의 이미지가 들어가야 하고, 경쟁이 덜한 업체는 최소한 3장 이상의 사진이 들어가면 상위노출 확률이 조금 더 높다고 알려져 있으니, 참고하시구요.
하지만, 사진에 대한 설명 없이 사진만 무작적 뿌려대는 일은 없겠죠? 사진 밑에는 그 사진이 무엇을 설명하고 있는지에 대한 최소한의 설명이나, 관련 글을 작성하는 것은 기본입니다. 사진을 보며, 스토리텔링을 하는 것도 도움되구요. ^^
3. 동영상이란 양념.
많은 분들이 사진에만 신경 쓰다 보니, 동영상에 대한 관점은 아예 잊어버리는 경우가 흔합니다. 검색엔진은 사진 뿐 아니라 동영상도 본다고 합니다. 스마트폰을 통해 찍고, N드라이브로 전송하고, 이를 다음팟인코더를 통해 인코딩한 후 블로그에 올리는 것이 최고겠지만, 알씨 등을 이용한다면 몇 장의 사진만으로도 간단히 동영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하나를 가르쳐 주면 하나 밖에 검색엔진은 이를 동영상 파일로 인식하기 때문에 오직 검색엔진만을 고려한다면 이방법도 괜찮지만, 포스트의 질의 생각한다면 직접 찍은 동영상을 올리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동영상 편집 등이 첨엔 힘들겠지만 시간이 지나 익숙해지면 정말 짧은 시간에 잼난 포스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4. 되도록 블로그에서 글을 쓰면 좋습니다.
글을 쓸 때 메모장이나, 한글 등의 워드 프로그램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검색엔진은 포스트 작성자가 이 포스트에 얼마만큼의 정열을 쏟았는지도 기준으로 삼고 싶어합니다. 바로 블로그 포스팅 시 체류시간인데요. 프로그램이라 수치화된 작업만 인식할 수 있습니다.
즉, 블로그 글쓰기에서 얼마만에 글을 썼는 지를 체크하는 겁니다. 보통의 글을 1시간 정도 투자해서, 워드 프로그램 등에 쓰다가 복사해서 블로그 글쓰기 란에 단 3초만에 붙여넣기를 한다면 이 블로그는 이것을 약 3초만에 썼다고 인식해 버리는 겁니다.
그러니 되도록 블로그 글쓰기에서 직접 포스팅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득이한 경우, 글쓰기란에 붙여넣기 한 후 약 10분 정도 후에 저장을 누르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맞춤법 등에 대해 불안하다면 아래 링크의 맞춤법 검사기<링크 바로가기>를 사용하시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트랙백 활용
자신의 포스트를 많은 사람이 보면 좋겠죠? 이건 마케팅의 일종이라 할 수 있는데요. 닭큐와 같은 안파워블로거는 아무리 포스팅을 하더라도 많은 분들이 읽어 주지 않습니다. 이때 유용한 것이 트랙백. 일명 글걸기라는 개념인데, 다음뷰나 일반의 메타블로그의 최상단에 노출되고, 많은 분들이 방문하는 포스트에 자신과 연계된 포스트를 트랙백하면 간단한 <호가호위> 정도는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
잘나가는 블로그에 유입된 많은 분들이 같은 주제에 대한 새로운 정보욕구가 이 트랙백으로 인하여 표출되는 것입니다. 즉,
6. 댓글은 많을수록 좋습니다.
위 댓글은 제 포스팅에 많은 분들이 달아주신 댓글입니다. 그리고 제가 그에 대해 달아놓은 답글이기도 합니다.
블로그는 품앗이 개념입니다. 내가 도와주는 만큼 다른 분들도 저를 도와줄 가능성이 큽니다. 다른 블로그에 댓글을 제 블로그에도 댓글이 달립니다. 파워블로거의 블로그에 가면 많은 분들이 수십 또는 수백개의 댓글을 달아둡니다. 물론 주인장은 그에 대해 성실히 답댓글을 달아주고 있구요. 또 그 댓글의 링크를 타고 들어가서 댓글을 달아주기도 합니다. 돌고돌고돌고. ^^
정말 글을 잘 쓰거나, 사진이 예뻐도 그 블로그가 많이 유명해진다거나, 어떤 상을 받는다거나 하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특히 검색엔진이라는 포털의 자의적인 객관적 기준으로 판단하기에 무슨무슨 블로거가 되는 일은 버겁습니다.
하지만 댓글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포스트에 관한 의견을 많이 나누고 있는 것으로 검색엔진이든, 방문객이든 호감을 느끼게 되고, 신뢰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암튼 댓글은 가장 적극 활용해야 하고, 가장 성실히 임해야할 블로거의 자세이며, 검색엔진 또한 이런 댓글이 많은 포스트를 선호합니다.
7. 블로깅 짜잘 팁.
■ 프로그램 설치 등 화면이 작은 내용의 프로그램 설치화면 등을 스샷 할 때는 가능한 배경에 메모장을 깔아두세요. 흰색 배경의 메모장을 전체화면으로 하면 나중에 편집하기 깔끔해집니다.
■ 여기저기서 퍼온 글을 포스팅할 공간에 바로 붙여넣기 하지 마세요. 반드시 메모장에 한 번 붙여넣기 후 포스팅할 공간에 잘라내서 붙여넣기 하세요. 인터넷에 함께 포함되어 있는 html의 명령어가 고스란히 따라오기 때문입니다. 이럴경우, 자신이 의도한 대로 편집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당연히 검색엔진에 등록되어야 상위노출에 유리합니다. 다음, 네이버, 네이트, 구글 등 국내외 검색엔진에 자신의 블로그를 등록시키십시오. 비영리 목적인 경우 무료이며, 등록 시간은 1주일 이상 걸리지만, 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절차입니다.
단, 포스트의 개수가 일정 수 이상이어야 하고, 자신의 컨텐츠가 특성화 되어 있는 경우 검색엔진에 등록하여 주니, 참고하시구요.
머찐 블로깅하시구요.
'직장인 SNS > 직장인 블로그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SNS 동향 및 2013 SNS 전망 - SNS 시장동향 보고서(강학주) (4) | 2012.11.08 |
---|---|
[강의] 강학주 소장의 소셜 큐레이션. SNS? 이번엔 큐레이션. (2) | 2012.10.30 |
[페이스북] 페이스북에 나만의 주소(URL)를 만들자. (3) | 2012.09.28 |
[블로그] 구글 지메일(gmail)에 가입하면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4) | 2012.09.28 |
[블로그 동영상] 유튜브 다운로더 HD 다운 받기(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 (36) | 2012.09.28 |